대한항공 여객기 필리핀 세부서 활주로 이탈 사고가 났습니다. 기상 악화로 3차례 비상 착륙 시도를 했지만 결국 활주로 이탈 사고가 나면서 여객기는 멈췄습니다.    대한항공 여객기 필리핀 세부서 활주로 이탈 사고 사과문 공개대한항공 여객기 활주로 이탈 사고 모습대한항공 여객기 활주로 이탈 사고 모습지난 23일 현지시각 대한항공 여객기는 필리핀 세부 막탄 공항에서 악천후 속 착륙 후 활주로를 이탈(오버런·overrun)하는 사고가 발생해 동체가 파손된 채 멈췄습니다.

 

오늘 24일 대한항공 측은 인천 국제공항에서 전날 오후 6시 35분 출발해 세부 막탄 공항으로 향한 A330-300 여객기(KE631)가 착륙하는 과정에서 현지 기상 악화로 비정상 착륙했다고 말했습니다.  악천후로 여객기는 3차례 착륙 시도를 했으며, 결국 도착예정시간보다 1시간 늦게 가까스럽게 착륙했습니다. 여객기는 활주로를 벗어나 인근 수풀에서 멈췄습니다.

대한항공 여객기 활주로 이탈 사고 모습대한항공 여객기 활주로 이탈 사고 모습사고 직후 현지 소방서가 긴급 출동했으며, 비상탈출 슬라이드로 승객들은 무사히 탈출해 다행히 인명 피해는 없었다고 전했습니다.  현재 노약자와 휠체어가 필요한 일부 승객들은 공항 내 진료소로 이동해 건강상태를 확인했으나 큰 문제가 없다고 대한항공 측이 밝혔습니다.

 

 

대한항공 여객기가 필리핀 세부 공항에서 활주로를 이탈해 수풀에서 멈춰서 여객기 바퀴와 동체 일부가 파손됐습니다. 다만 대한항공은 인명피해는 없다고 밝혔습니다.

 

대한항공에 따르면 어제 오후 7시 21분 인천을 떠난 대한항공 KE631 여객기가 오늘 새벽 0시쯤 세부 막탄 공항에 비상착륙했습니다. 항공기는 활주로를 벗어나 바깥 풀밭에 멈춰 섰습니다.

항공기에는 승객 162명과 승무원 11명이 타고 있었지만, 현재까지 다친 사람은 없는 것으로 알려져 그나마 다행이라는 반응이 나왔는데, 대한항공 항공기는 비정상 착륙으로 인해 기체 일부가 손상됐습니다.

 

비상착륙 당시 충격으로 항공기 바퀴 등 기체 일부가 파손됐으며 승객들은 출입문 대신 슬라이드를 타고 긴급 탈출했습니다. 탑승객들은 "비상착륙 당시 '쾅' 하는 소리가 났다"고 말했습니다.

사고가 난 항공기 기종은 A330-300으로, 대한항공은 "착륙 중 기상악화로 활주로를 이탈했다"며 정확한 사고 원인을 조사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해당 항공기 기장은 처음 착륙을 시도했을 때 활주로 시야가 보이지 않아 복행(고어 라운드, 착륙을 포기하고 재상승하는 것)을 했습니다. 곧바로 두 번째 착륙을 시도했을 때는 강한 하강 기류(윈드시어)를 만났다고 합니다. 항공기 바퀴가 활주로에 거칠게 닿을 정도로 강한 하강 압력이 가해졌던 것으로 전해집니다.

 

무리하게 착륙을 감행할 경우 항공기가 제대로 착륙하지 못할 수 있기에, 기장은 다시 복행을 결정했습니다. 항공기 바퀴가 지면에 세게 닿았을 때 기체가 충격을 받아 엔진브레이크 계통에 문제가 생겼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2차 복행 이후 유압 장치를 비롯한 엔진브레이크 계통에 동시다발적으로 문제가 생겼다는 메시지가 표시됐기 때문입니다.

 

본보가 공항의 노탐(NOTAM, 운항정보 공시)을 확인한 결과 세부 막탄 공항의 ILS는 9월 2일부터 11월 2까지 ‘U/S(Unserviceable, 작동하지 않는)’ 상태로 확인됐습니다. ILS는 착륙 중인 항공기에 활주로 중심선 활공각 및 위치정보를 제공하여 항공기가 안전하게 자동으로 활주로에 착륙할 수 있도록 돕는 시설이라고 합니다. 즉, 각종 전파 등을 이용해 항공기가 자동으로 활주로에 잘 맞춰서 착륙할 수 있게 하는 핵심 안전시설입니다.

 

세부 막탄 공항은 레이더 장비가 제대로 갖춰져 있지 않아 조종사와의 교신을 통해서 고도 등의 정보를 받으며 관제하기도 합니다. 기체 GPS와 사전에 약속된 착륙 경로, 그리고 조종사의 육안에 의존해 착륙해야 하는 환경이었다는 뜻입니다. 특히 이날 노탐에는 ‘활주로 일부에 포트홀(Pothole, 움푹 팬 곳)이 있으니 주의하라’는 공지까지 있었습니다. 위험요소가 많았다는 얘기입니다.

 

더불어 날씨도 문제였습니다. 사고 당일 공항 주변의 날씨 정보에 따르면 공항 상공에는 소나기성 적란운이 크게 형성돼 있었고, 이따금 강한 돌풍도 불었다고 합니다. 시야가 몇 백 m 앞도 채 보이지 않았던 상황이었습니다. 이런 환경에서는 항행시설이 제대로 작동했어도 착륙이 쉽지 않다는 게 전문가들의 의견입니다.

+ Recent posts